Ⅰ. 서 론
요즘 FTA협정에 따른 외국 농산물의지속적으로 우리의 식탁을 잠식하고 있어 한국 농산물 시장이 위기에 처하고 있어 갈수록 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오늘날 우리 농업은 자연에 의존한 단순한 농산물 생산이 아니라 가능한 모든 자재와 시설을 동원하여 상품성이 높은 농산물을 최대한으로 많이 생산하며, 판매와 유통 전략까지 계산하고 농사를 짓게 되었다. 어느 면에서는 현재의 우리 농업은 과거 어느 때보다 한발 더 성숙하기 위한 활기 찬 변환의 과정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농업을 보는 눈에 따라서, 또는 처해 있는 입장에 따라서, 우리는 희망과 도전의 자신감에서부터,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짐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인 것이다. 따라서 경쟁력 있는 농사를 지으려면 좋은 퇴비와 비료 등을 잘 사용하여 땅의 지력을 강화 시켜야만 가능할 것이다.
농사를 지을 때 농부가 퇴비와 비료 등을 적당히 주어야 농사가 잘 된다. 그렇지 않으면 농사에 있어 수확이 제대로 되지 않아 농부의 정성이 헛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무기질 화학비료와 유기질 비료를 적당히 사용하면 땅의 지력도 강화시키고 농사도 잘되기도 한다.
부숙유기질 비료는 농업, 임업, 축산업, 수산업, 제조업 또는 판매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 인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토양미생물 제제, 토양활성제 등 비료성능이 있는 물질로서 농림부장관이 지정한 것을 말한다 (비료관리법). 부숙유기질 비료는 퇴비, 구비, 부숙겨, 재, 복비, 분뇨잔사, 부엽토, 아미노산발효 부산비료, 건계분, 건조축산 폐기물, 부숙왕겨 및 톱밥, 토양비생물 제제의 12개 공정규격이 설정되어 있다.
유기질비료는 내용물의 질소, 인산, 카리 등 비료성분의 함량을 공정규격의 규제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 반면에 부산물비료는 내용물의 유기물 함량과 OM/N비를 규제하는 점이 유기질비료와 다르다. 퇴비는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며 이러한 유기물은 부식화 (humus)되어 토양의 비옥도를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토양부식은 식물에 다량요소와 미량요소를 공급하기도 하며, 그 효과는 화학비료와 달리 꾸준히 지속적으로 양분을 공급한다. 특히 분해과정에서 탄산가스를 유출하여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을 촉진시키고 작물의 성장발전을 촉진하는 물질을 분비하기도 한다. 이 장에서는 부숙유기질 비료의 종류, 형태와 성질에 대해 기술 하기로 하자.
Ⅱ. 본 론
1. 부숙유기질 비료의 종류 및 형태와 성질
1) 부숙유기질의 의미
2) 특징
3) 부숙 유기질 비료의 성질
2. 부숙유기질 비료의 종류 및 형태
1) 유기질비료 유박과 부숙유기질 비료 퇴비의 차이
2) 토양에 사용되는 유기질원은 반드시 발효 제품이어야
3)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보카시)란 무엇인가?
3. 부속유기질의 사용방법
1) 토양검정에 의한 부숙유기질비료 사용량 산정
2) 작물별 표준량에 의한 부숙유기질비료 사용량 결정
4. 부속유기물 사용에 관한 나의제언
Ⅲ. 결 론
참고문헌
-김복진,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의 계간지인 토양과비료, 영남대 자연자원대학
-이상은 『토양과 비료』 제19호 2004. 9
-임선욱, 1996, 『최신 토양학통론』, 문운당, 서울
-최병순, 김진환, 이동훈, 1997, 『토양오염개론』, 동화기술, 서울
-환경부, 1997, 『환경백서』, 환경부
-신제성, 1997, 농경지 토양현황과 관리, 오염 토양복원 기술 국제 세미나, 한국토양환경학회
– 김계훈 외, 2015, 『토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김계훈 외, 2009, 『토양학』 (향문사)
– 농촌진흥청 “흙토람” 사이트 |